aws eks 2

[AEWS] 3주차 EKS에서 CSI Driver를 통한 AWS 스토리지 사용하기 (EBS, EFS)

Cloudnet AWES 3주차 스터디를 진행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스토리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시간에는 AWS EKS에서 다양한 종류의 CSI Driver를 활용하여 AWS의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AWS 환경에 대표적인 스토리지를 알아보겠습니다. AWS 스토리지AWS EBS (AWS Elastic Block Storage)AWS 블록 스토리지로, EC2에서 디스크처럼 연결하여 사용하는 블록 스토리지입니다.EC2 특정 노드에 종속 되어서 여러 노드에서 공유가 불가능하고, ReadWriteOnce(RWO) 모드만 지원하여 하나의 Pod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AZ가 제한되어 하나의 AZ 내에서만 접근 가능합니다 높은 IOPS와 ..

스터디/AEWS 2025.02.23

[AEWS] 1주차 EKS 설치 및 EKS Endpoint Access에 따른 아키텍처

Cloudnet AWES 1주차 스터디를 진행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EKS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KS를 설치하는 방법과 엔드포인트 액세스에 따른 EKS 아키텍처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말씀 부탁드립니다. EKS 배포하기EKS는 AWS Managed Kubernetes 클러스터로,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재직 중인 회사에서는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는 Cluster API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해당 방법은 쿠버네티스에 대한 사전 이해도가 필요하고, 단일 클러스터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오버 엔지니어링이라고 생각합니다.)보편적으로 클러스터 생성 시 사용하는 2가지 방법에 대해 우선 소개..

스터디/AEWS 2025.02.08